몇가지 사례를 이용한 도덕적 판단

  • 기관사로써 차로를 변경하여 5명의 죽음 or 1명의 죽음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?
  • 뚱뚱한 사람을 밀쳐 5명의 목숨을 구할 것인지?
  • 중환자 1명과 경상환자 5명 중 시간의 제약에 따라 선택지가 주어졌을 때 어떤 판단을 할 것인지?
  • 5명의 장기별 이상이 있는 환자가 있을 때 건강한 1사람을 희생시켜 5명을 살릴 것인지?

도덕추론

  • 결과론적 : 행동의 결과에 따라 도덕성을 판단
  • 정언적 : 의무와 권리에 따라 도덕성을 판단
  • 우리는 종종 행동의 결과에서 도덕성을 찾으려 한다 그 행동이 만들어낼 세상의 모습에서 도덕성을 찾는 것 -> 결과론적 도덕 추론
  • 어떤 경우에는 행동의 결과가 우리를 동요시키지 않는다 결과뿐만 아니라 행동 본질이나 특징도 도덕성 판단에 중요하다 -> 정언적 도덕 추론

도덕적 고민을 하는 이유

  • 이치를 따지는건 불가능해 -> 회피이고 회의주의
  • 비록 해결은 불가능하지만 이 문제들을 피할 수도 없다는걸 보여주는건 아닐까?
  • 우리의 일상이 이 문제들에 대한 답이 될 수 있기 때문
  • 도덕적 고민을 포기하는 회의주의는 해결책이 아니다

임마누엘 칸트

  • 회의주의는 인간 이성의 쉼터다
  • 그곳에서 이성은 이념적 방황에 대해 성찰할 수 있지만 그곳에 영구적으로 정착해 살 수는 없다
  • 회의주의에 굴복한다면 이성의 동요를 절대 극복할 수 없다

강좌의 목적

  • 이성을 일깨워 방황하게 만들고 그것이 무엇을 이끌어내는지를 보는 것

공리주의

  • 결과론적 도덕 추론 방식
  • 제러미 벤담 18세기 영국 정치철학자
  • 공리주의 도덕 이론을 처음으로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설명
  • 단순하면서도 도덕적 직관에 강하게 호소
  • 정당한 행동은 공리를 극대화하는 것이라는 주장
  • 벤담이 말한 공리는 고통을 상쇄하고 남은 쾌락(행복)
  • 고통과 쾌락이라는 두 통치권자에게 지배받는 존재라는 깨달음
  • 전체의 행복을 극대화하는 행동이냐 아니냐가 되어야 한다는 것
  •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

반론

  • 다수의 행복을 위해 살인이 정당화 될 수 있는가?(3명이 살기위해 배고픔을 1명을 살인 후 해결하여 살아남은 실제 사건 예시)